2025년 3월 19일 기준으로 연준(Fed)의 금리 결정과 관련된 경제 상황, 시장 반응
ㄴ일본도 동결전망
ㄴ미국도 동결전망
생각보다 아직 시간은 좀 필요한가?
트럼프정부는 금리인하를 빨리하고 싶어하는것 같은데 오늘 둘다 동결하면...
증시는 호재가 없는데... 많이 하락하여 전보다 저렴해보인다는 느낌만 있구...
1. 연준 금리 동결 가능성과 시장 초점
금리 동결 확률: 연준이 3월 19일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거의 100%로 간주됨.
시장 관심사:
연준의 향후 금리 인하 궤적을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
연준의 경기 전망.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배경: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으로 인플레이션 재발 우려가 커짐. 연준은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신중한 입장을 유지 중.
점도표 전망:
2024년 12월 기준, 연준은 2025년 금리 인하 횟수를 4회에서 2회로 축소한 바 있음.
만약 추가 축소(예: 1회 또는 0회) 시 시장에 큰 충격 예상.
현재 시장은 2025년 금리 인하 폭을 약 60bp(0.6%)로 예측.
2. 전문가 의견
로렌 굿윈(뉴욕 라이프 인베스트먼트):
높은 인플레이션과 기대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금리 인하 문턱을 높일 가능성.
연준은 금융 여건과 경제 성장 전망이 크게 악화되기 전엔 선제적 인하를 피할 것.
스콧 헬프스타인(글로벌X):
연준은 긴축 기조를 유지할 가능성 높음.
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 리스크가 모두 증가 중.
단기 변동성 대비와 장기 전략 검토 필요성 강조.
3. 안전 자산 '금'과 시장 동향
금 가격:
불안 심리 확산으로 투자자들이 금으로 이동.
금 현물 가격: 온스당 3038.26달러(사상 최고치 경신).
금 선물 가격: 온스당 3040.80달러(1.2% 상승, 역시 최고치 경신).
국채 금리:
10년물: 4.283%(전일 대비 2.3bp 하락).
2년물: 4.042%(전일 대비 1.1bp 하락).
달러:
달러인덱스 103.27(0.1% 하락, 약보합).
4. 종합 분석
경제 상황: 트럼프 정책(관세 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며 연준의 신중한 태도가 예상됨. 금리 동결은 확실시되지만, 점도표와 파월 의장의 발언에서 트럼프 정책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반영할지가 관건.
시장 반응: 금리 인하 횟수 축소 시 충격 가능성 있음. 현재 시장은 60bp 인하를 낙관적으로 보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지속 시 더 보수적 전망으로 전환될 수 있음.
안전자산 선호: 금 가격 급등은 투자자 불안 심리를 반영. 국채 금리 하락과 달러 약보합은 시장이 위험 회피 모드로 전환 중임을 시사.
요약하자면, 연준의 금리 동결은 기정사실로 보이며, 시장은 점도표와 파월의 발언을 통해 향후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하려 할 것입니다. 인플레이션과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금과 같은 안전 자산 선호도가 높아지는 상황.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등 시도 다음 보아야 할 것 (13) | 2025.03.19 |
---|---|
3월 FOMC와 오늘 발표된 BOJ 결정에 대한 주요내용 (10) | 2025.03.19 |
미국 경제 상황에 대한 최신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요약정리. (7) | 2025.03.19 |
The Chosun Ilbo, a far-right hegemonic (12) | 2025.03.19 |
TSMC의 2.5D CoWoS(Chip on Wafer on Substrate) 패키징은 AI 서버 수요 증가로 주목받고 (7)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