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

북한의 암호화폐 절도 관련 주장 사실 여부 북한의 암호화폐 절도 관련 주장 사실 여부 1. 주장: "작년 북한이 코인 도적질로 2조 원이 넘게 쓸어갔다"사실 여부 확인:2024년 북한의 암호화폐 절도 규모에 대한 정확한 수치는 WSJ 기사 원문을 확인하지 못해 단정할 수 없으나, 관련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통해 추정 가능하다. 블록체인 분석 업체 Chainalysis의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연계 해커들이 2023년에 약 6억 달러(약 8,000억 원) 규모의 암호화폐를 탈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024년 11월 서울신문 보도에 따르면, 북한 정찰총국 산하 해킹 조직이 2019년 국내 거래소에서 약 1조 4,700억 원(현재 가치 기준)을 탈취한 사례가 확인되었다. 이 외에도 2024년 동안 추가 탈취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더보기
트럼프 관세의 ‘오일쇼크급 충격’ 대통령이 바뀌어도 환율은 1450원 예측하는군요.... 이유야 관세같은 문제땜시 ㅠㅠ1. 불투명한 원화 추가 강세현황: 간밤 달러-원 환율은 약 9원 하락하며 1,462원 부근에서 마감. 씨티그룹은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달러-원 환율이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고 분석.원인: 구조적인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 추세, 배당금 지급 시즌, 기업의 제한적인 달러 환전 수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됨.전망: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더라도, 향후 3개월 동안 달러-원 환율은 1,450원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분석: 원화 강세가 제한적인 이유는 국내외 경제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으며, 단기적인 환율 변동성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투자자는 환율 안정성을 감안한 전략 수립이 필요.2. EU, 트럼프.. 더보기
미국 없는 세계: 트럼프 관세 정책과 글로벌 패권의 변화 미국 없는 세계: 트럼프 관세 정책과 글로벌 패권의 변화ㄴ그나저나 캐나다랑 멕시코는 아직 빼먹을게 많은가? 다른나라는 즉시 손절해도 이 두 나라에서 가져와야하는게 많아서 그러는건가...? 1. 트럼프 관세 정책 개요트럼프는 모든 국가에 보편관세 10%를 부과하고, 한국에 대해서는 추가로 15%포인트 높은 25%의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백악관 정원에서 진행된 연설에서 한국은 "최악의 국가" 명단 7위로 지목되었으며, 미국에 50% 관세를 매긴다는 근거 없는 주장이 제시되었다. 트럼프는 이를 "비화폐적 장벽(non-monetary barriers)"으로 설명했는데, 이는 비관세장벽(non-tariff barriers)을 포괄하거나 주관적으로 확대한 개념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미FTA로 한국은 미국 상품에 거.. 더보기
트럼프의 주장과 관세정책 성공여부 (1) 트럼프의 주장과 관세정책 성공여부주장: 중국, 베트남, EU, 일본, 한국 등이 미국에 "엄청난 관세"를 매겨 "삥 뜯어왔다" 주장. 이에 상호관세로 "그 절반"만 부과하며 "관대하다"는 논리.예: 한국이 미국에 50% 관세를 매겼으니(사실 아님), 25% 상호관세 부과. 모든 국가에 보편관세 10% 추가.스타일: 바람 부는 날 차트를 들고 농담 섞인 설명, 관료들의 웃음. 이는 트럼프 특유의 쇼맨십과 과장된 자신감을 보여줍니다.문제점: 사실 왜곡: 한국은 FTA로 미국 상품에 거의 관세를 매기지 않음(0%대). 트럼프의 "50%" 주장은 근거 없음.논리 부재: 환율, 비관세장벽을 언급하며 관세를 정당화하지만, 구체적 계산이나 증거 제시 없음.(2) 분위기와 국제적 반응모욕적 태도: 트럼프의 오만.. 더보기
미국증시... 증시박살....? 시나리오? 증시박살....? 1. 관세 정책 개요전 세계 모든 국가에 기본 관세 10%.한국 등 특정 국가에 25%, 베트남·캄보디아·스리랑카 등에 40%대 상호 관세.스콧 베센트 재무장관: 현재 관세율은 상한선이며, 5일(보편 관세)과 9일(상호 관세)까지 협상으로 조정 가능.트럼프의 주장: 관세율이 상대국보다 낮아 "관대하다"는 입장. 협상을 통해 각국을 압박하며 조공을 요구하는 전략.현실과의 괴리: 한국은 FTA로 미국에 0%대 관세를 적용 중인데, 트럼프는 이를 무시하고 25%를 부과하며 억지 논리를 펼침.2. 경제학 이론과 관세의 영향경제학에서 관세는 무역 장벽의 대표적 형태로, 자중손실(Deadweight Loss), 소비자 후생 감소, 생산자 후생 변화 등을 초래합니다. 이번 관세 정책을 주요 경제학 .. 더보기
미국 증시에 이번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가 악재 해소로 받아들여질 확률은???? 미국 증시에 이번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가 악재 해소로 받아들여질 확률은????ㄴ ㅋㅋ... 트럼프 , 베센트... 빡친당...1. 관세 정책 발표의 내용과 시장 기대와의 괴리발표 내용: 트럼프 행정부는 4월 2일 전 세계에 기본 관세 10%를 부과하고, 'dirty' 국가로 지목된 곳에는 더 높은 상호 관세를 적용했습니다. 이후 협상을 통해 관세율이 조정될 가능성을 열어뒀지만,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 "이게 맥스"라고 한 발언과 달리 추가 상승 가능성이 언급되며 시장의 신뢰가 흔들렸습니다.시장 기대: 시장은 관세율이 '최악의 시나리오'로 끝나고 이후 하향 조정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트럼프 풋)을 기대하며 4월 2일을 불확실성 해소의 날로 인식했습니다. 그러나 발표가 기대보다 강경하고 불확실성이 지속되.. 더보기
중국인민은행의 3월 약 161조 원 규모 전면적 역레포 가동 이유 중국인민은행의 3월 약 161조 원 규모 전면적 역레포 가동 이유 ㄴ중국은 무한돈풀기 작전인가....1. 배경 개요2025년 3월, 중국인민은행(PBOC)은 은행 시스템의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약 8천억 위안(한화 약 161조 원) 규모의 전면적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를 실시했다. 이는 5천억 위안(3개월 만기)과 3천억 위안(6개월 만기)으로 나뉘어 고정 수량, 금리 입찰, 다중 가격 낙찰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전면적 역레포는 2024년 10월 28일 처음 도입된 새로운 유동성 관리 도구로, 기존 단기 역레포보다 긴 1년 이내 만기를 특징으로 하며, 유동성 조절의 정밀성과 유연성을 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2. 중국이 전면적 역레포 전략을 사용하는 주요 이유 분석2.1 유동성 안정화 및 경제 성장 .. 더보기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미 증시 및 글로벌 시장 동향 보고서 (2025년 4월 3일 기준)ㄴ또람프....관세를 진심 이따구로 하네 ㅋㅋㅋㅋㅋㅋ대단하다....1. 미 증시 개요2025년 4월 3일, 미국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를 앞두고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장 초반 하락세로 출발했으나 이후 상승 전환에 성공했다. 주요 지수는 다음과 같은 성과를 기록했다: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0.56%나스닥 종합지수: +0.87%S&P 500: +0.67%러셀 2000: +1.65%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89%장 초반 하락은 관세 부과에 대한 불확실성과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촉발되었으나, 미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Scott Bessent)의 발언이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그는 이번 관세가 상한선(maximum .. 더보기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