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뉴스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의 반도체 제재로 결국 중공의 기술자립이 폭발할 것 미국의 반도체 제재로 결국 중공의 기술자립이 폭발할 것이다 불과 하루 전, Byeongho Kang님이 미국의 반도체 제재가 과연 정말로 중공을 옭아맬 수 있을까- 라는 내용을 블로그에 쓰셨는데, 똑같은 내용이 FT.com에 올라옴. 이번에 발표된, 중공에 하이엔드 AI 반도체 수출 즉시 금지- 는 불과 몇 주 전 중공에 EDA 소프트웨어 판매 금지 조치 후에 나온 것이다. EDA는 칩 설계 소프트웨어. 근데 투자은행 Jefferies의 애널리스트는 중공이 결국 자신들만의 EDA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보고 있다. 미국의 제재가 효과를 발휘할 거라고 보는 전문가들이 드는 근거는, 반도체 업계는 한 회사가 모든 걸 다 잘 할 수는 없다는 것. 대표적인 사례는 화위다. 미국이 제재 좀 때리니까 (특히 스마트폰 .. 더보기 LG에너지솔루션 주가전망, 2025년까지 엘지앤솔이 수주받은 배터리 매출액은 440조원이다. 2025년까지 엘지앤솔이 수주받은 배터리 매출액은 440조원이다. 아래표는 LG에너지 솔루션이 전세계 글로벌 자동차 회사에 납품하기로 이미 수주를 받아 논 잔고는 1,700GWH, 완성차 2,200만대 분량이고 매출액 기준으로는 440조원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현재는 빠른 속도로 중국 배터리 회사들의 매출이 앞서는 것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엔지앤솔의 매출액은 급증하게 됩니다. 3년간 440조원이면 연간 평균 146조원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엔지앤솔은 저평가 받고 있는 기업입니다. 중국측 배터리 회사인 CATL 등이 당장은 매출액이 많아보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격차를 점점 더 벌어지게 됩니다. 배터리 회사가 제2의 반도체가 되는 세상이 옵는다. 그럼 뭐하냐 배터리 원재료 부품을 모두 중국에서 사다쓰는데.. 더보기 대한민국 은행은 안전한가? 중국처럼 뱅크런 위기는 없을까? 중국에서 뱅크런 이야기나오니 우리나라도 비슷한? 증상나올것 우려해서... 더 예금하라는 식으로 작업하는게 아니냐 이런 의심글이 조금씩 나오네요 큰 은행은 뭐...괜찮더라도 저축은행은 조심해야할 수도...?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예금자 보호한도 상향..그리고 CBDC" 슬슬~ 밑밥을 깔고 있구나.. 3대 위험자산 폭락으로 "안전(?)자산이 다시 주목." "적게 먹어도..은행에 맡기면, 원금은 안 까먹는다 아이가?!" 과연 그럴까? 이렇게 바람을 넣은 놈은 누구? 바로, "미국 연준(FED)"😡 "물가를 잡겠다."는 구실을 만들어 "기준금리를 인상함" "빅 스텝, 쟈이안트 스탭" 애시당초, "금리를 올려, 물가를 잡겠다"는 발상 자체가 잘 못된 것. "잘 못된 가정"에서 출발함. "(FED의)기준금리 인상.. 더보기 Ai가 그린그림, 미술대회 1등 1. AI가 그린 그림이 어느 미술대회에서 1등을 했다는 뉴스를 보고 감탄하거나, 예술이 위협받는다, 이제 인공지능이 인간의 창작 능력을 뛰어넘었다고 말하기 전에 먼저 자신이 예술성이나 창작을 어떻게 정의하는지 생각해봤으면 한다. 인공지능이 기계학습을 통해 사람의 창의력을 가장할 만큼 뛰어난 눈속임을 하는 단계에 도달하지 못할 거라는 얘기가 아니다. 그런 날이 올 수도 있다. 하지만 알파고가 동네 기원에서 취미로 바둑을 두는 아저씨 하나를 이겼다고 "AI가 인간을 뛰어넘었다"고 한 게 아니다. 최고를 꺾은 후에야 그렇게 말할 수 있었다. 2. 이번에 1등을 했다는 그림이나, 요즘 돌아다니는 AI의 그림들을 보고 창의적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바둑을 처음 배우기 시작해서 동네 기원에서 바둑 좀 둔다는 아저씨의.. 더보기 미국이 대중국 반도체 기술 견제를 하기 위해 두번째로 꺼내든 카드가 NVIDIA와 AMD의 GPU 대중 수출을 통제하겠다는 것이다."중국 견제" 미국이 대중국 반도체 기술 견제를 하기 위해 두번째로 꺼내든 카드가 NVIDIA와 AMD의 GPU 대중 수출을 통제하겠다는 것이다. 미국이 NVIDIA의 GPU 중에서도 콕 짚어 언급한 것은 A100 암페어 혹은 그 이상급의 대용량 AI가속기다. 2020년에 발표된 이 GPU는 일반 유저보다는 대용량 서버용 가속기로 볼 수 있다. 특히 HPC 전용 AI 연산기로 보는 것이 타당할 정도로 트랜지스터 집적도가 높으며 (542억개/826mm^2), 그만큼 전력 소모량과 쿨링 로드도 크다. 이런 GPU가 필요한 곳은 주로 자율주행차용 AI 엔진이나 거대 NLP 처리 및 합성, 그리고 군사 기술쪽이다. 자율주행차나 언어생성 AI에 비해 군사용 AI 적용은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는데, 사실 AI가 나오기 이전부터.. 더보기 펌글)국내 주요 벤처캐피탈 20곳을 운용자산순으로 정리 국내 주요 벤처캐피탈 20곳을 운용자산순으로 정리해봤습니다! 자료는 2021년을 기준으로 했으며 벤처펀드와 사모펀드의 운용액을 합산했습니다. 1. IMM인베스트먼트 : 5조9815억원 2. 한국투자파트너스 : 3조2230억원 3. 소프트뱅크벤처스 : 2조1683억원 4. 아주IB투자 : 2조252억원 5. KB인베스트먼트 : 1조9025억원 6. 메디치인베스트먼트 : 1조3383억원 7. 프리미어파트너스 : 1조3376억원 8. SV인베스트먼트 : 1조3101억원 9. 인터베스트 : 1조2303억원 10.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 1조2030억원 11.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 1조1519억원 12. 신한벤처투자(네오플럭스) : 1조1319억원 13. KTB네트워크 : 1조1120억원 14. 포스코기술투.. 더보기 단백질 보충제 꼭 필요할까? WHO가 말하는 하루 권장량은? 여러 영양제를 비롯해 단백질 보충제가 대대적으로 유행입니다. 바쁜 일상에 제대로 챙겨 먹지 못하고 영양적으로도 치우친 식사를 하다 보니 이런저런 보충제로 혹시 모를 결핍을 채우려는 것이겠지만, 최근 단백질 보충제 대유행은 몸짱 열풍의 영향이 큰 것 같습니다. 이른바 ‘벌크 업’, 근육을 키우기 위해 흡수가 빠르고 지속적인 단백질이 필수라는 것입니다. 건강을 위해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지만, 그것이 가뜩이나 과열상태인 외모지상주의를 더 부추기거나 꼭 필요하지도 않은 관련 상품의 소비로 흐르는 것은 좀 걱정스러운 일입니다. 특히 운동과 더불어 생활습관의 핵심인 식생활 개선에서는 혁신 없이 간편식, 보충제 위주의 생활이 더 자리 잡는다면 그것은 근본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로 이어지기 어려울 것으로 .. 더보기 중국떠나는 기업들. 지난 20년동안 만들어진 공급망이 하루아침에 변하지는 않지만 애플 구글 마이크로 소프트등 미국 IT 기업들의 생산기지가 중국에서 베트남 말레시아 인도로 서서히 옮겨가고 있습니다. 첫째 - 점점 가열해지는 미중패권 싸움의 심화되면서 중국이 점점 기회보다는 위기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싸움에 중간에 끼어들지 말자. 둘째 - 중국에서의 생산비용이 점점 높아져가고 있습니다. 특히 임금이 높아지면서 저임금 국가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중국을 완전히 대처하기는 쉬어보이지 않습니다. 더보기 이전 1 ··· 61 62 63 64 65 66 67 ··· 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