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나스닥 시황 썸네일형 리스트형 골드만삭스) 향후 12개월 내 미국 경기침체가 일어날 확률을 25%에서 20%로 하향조정 골드만삭스) 향후 12개월 내 미국 경기침체가 일어날 확률을 25%에서 20%로 하향조정합니다. 이는 월스트리트의 중앙값인 54%보다 훨씬 낮습니다. 최근 데이터는 인플레이션을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면 경기침체가 필요하지 않다는 우리의 확신을 강화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 파월이 공화당 인사라서 그런지 코로나19때 이미 생고생했으니 악재를 방치 방관하지 않는듯합니다 그동안 여러 자산운용사가 예측했던 모든 악재들은 파월과 옐런이 발로 차버렸죠 결과적으로 미국은 내년까지 좋을듯 합니다 빅테크 실적따라 다시 신고가로 가는지만 지켜보시면 될것같네요 아직 경기침체 , 금융위기 , 주택문제 해결되지않아서 내년에 더 큰 위기가 온다는 마이클버리같은 애들이 있긴한데 연준이 다 막아주겠다는데 점마들이 하는 예측이 의.. 더보기 미국증시가 점점 좋아지네요^^ 2023년 7월 18일 매크로 데일리 세줄요약 (1) 미 재무장관이 반도체 AI 퀀텀컴퓨팅을 중국으로부터 보호하겠다고 말했습니다. (2) 옐런 발언, 목표가 상향 등에 힘입어 엔비디아 주도로 NYSE FANG+지수가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3) 사모펀드 칼라일이 CLO 익스포져를 확대합니다. 미 10-2년 장단기 금리차 -0.931%p (+0.002%p) 한국 고객예탁금, 51.1조원 -2.3조원 K200 야간선물 등락률, +0.27% (오전 5시 기준) 1개월 NDF 환율 1,263.07원 (-3.63원) 안녕하세요,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에서 시황/전략을 담당하고 있는 이경민/김정윤입니다. [7월 18일 주요국 이슈] 보내드립니다. # 미국 미국 반도체산업협회, 바이든 행정부가 현재 및 잠재적인 .. 더보기 연준의 소프트랜딩을 확신하고 있으며 위기는 없을것이라고 하네요 골드만삭스는 향후 12개월 미국 경기침체 확률을 25%에서 20%로 하향조정했습니다 연준의 소프트랜딩을 확신하고 있으며 위기는 없을것이라고 하네요 미 증시,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여전한 가운데 상승 확대된 상태 입니다 대형주 장세로 엄청 움직임 좋네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재무제표 개선효과도 점차보일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DPST BNKU 금융주도 실적 무난히 잘나오는중인데 눈에보이는 악재는 거진 연준이 다 살려주었네요 미국은 부동산 연체, 기업 연체 모두다 관리가능 범위입니다 통제를 벗어나지않았습니다 신용카드 연체가 다시 높아지긴하는데 회수가능범위로 통계치엔 나오네요 (회수불가면 파산하는 사람이 많은건데 다들 버틸만한가 봅니다) 금리인상해야된다 내려야된다 대립이 강력한데 그래서그런지 이 구간에서 동결하는.. 더보기 메가테크 기업 강세지속 엔비디아만 가는줄 알았는데 다행히도... 테슬라도 가네요 ^^! 목표가 260달러 265달러라고 했었던애들 고의로 털려고 그랬나 싶기도 합니다 차근차근 매물벽만 잘 뚫고나면 300달러 단숨에 넘는것까지 기대해볼 수 있겠네요 메가테크 종목이 다 누가 먼저갈지 싸우는느낌 이네요 페이스북(메타) 엔비디아 테슬라 구글 애플 다 엄청 좋네요 테슬라 3천주의 의미 ( 추천 100명이 넘어서 진도나갑니다. 위화감 조성이 아닌, 젊은 테슬람들에게 로드맵 미리...) 1. 주가가 334불만 넘어가면 100만불로 테슬라네어가 되는 것입니다. 주가가 낮을 때부터 소액 투자로 테슬라네어가 되면 좋겠지만, 지금도 늦진 않았습니다. 2. 테슬라네어가 되면 일단 은퇴 자금이 100억 이상으로 단위가 바뀌게 되며, 외부 변수나 루머.. 더보기 미국 디스인플레이션 진입? [Bloomberg News 1.美디스인플레이션 미국의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 상승률이 전년비 0.1%로 시장 예상치 0.4%를 하회하며 2020년래 최저치로 둔화. 전월비 역시 0.1%를 기록.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PPI 상승률은 전년비 2.4%, 전월비 0.1%로 진정. 글로벌 공급망이 정상화되고 원자재 상품 가격이 안정을 되찾은데다 소비자들의 수요가 상품에서 서비스로 이동함에 따라 생산자 부문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후퇴하는 모습. 전일 소비자물가지수(CPI) 오름세가 시장 기대보다 더 큰 폭으로 냉각된데 이어 PPI마저 디스인플레이션 징후를 더함에 따라 수십년래 가장 가파르게 금리를 올려왔던 연준 위원들은 이제 숨을 돌릴 수 있게 되었음.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이번 PPI 지표가.. 더보기 특징종목: 경기민감ㆍ성장주 강세 * 특징종목: 경기민감ㆍ성장주 강세 S&P 500, 나스닥 등 주요 지수는 연중 최고치 및 2022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다우지수는 장 초반 상승분을 상당부분 반납했는데, 주가가 높은 유나이티드헬스(-2.4%)가 약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견인. 반면 리밸런싱 이슈로 주 초 부진했던 Mega 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재차 상승하며 증시 랠리를 주도. 특히,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업종(+1.5%)이 강세를 보였는데, 알파벳(+1.6%)과 메타플랫폼스(+3.7%)가 상승을 견인. 특히 메타는 최근 출시한 스레드(thread)의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며, 새로운 광고 수단으로써 각광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 유입. 또한 6월 시장 예상을 하회한 CPI 발표 이후, 국채수익률이 하락하자 은행주가 강세를 보이며.. 더보기 나스닥 100 리밸런스 이제 좀더 오르나 했는데? 갑자기 리밸런스 소리가나오고 눌림받는 느낌이네요 이번주 QQQ 리밸런스가 이뤄지는데 , 과도하게 집중투자되는걸 막기위해서 상위 7개주식을 매도한다고 합니다 (너무 지수에 대대적인 영향을 주는 종목이기도해서 견제한다는 뜻으로....) 그말은 즉슨 8번째 주식부터는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는 뜻같기도 하네요 열받게 지수가 나름 튼튼해도 메타빼고는 상위 7개 다 조정받았네요 14일에 세부조정안이 발표된다고 하는데 그 내용따라서 추가 조정은 더 있을 수 있어보입니다 이번주 그렇게 지나고나면 그다음에는 테슬라가 슬슬 실적발표도 코앞이네요 [6월 CPI, 조금 아쉬우면서도 반가운 3.0% & 4.8%, 키움 한지영] ---- (CPI Three Point) a. 헤드라인과 코어 모두 괜찮.. 더보기 하워드 막스의 시장온도 멘트 미국은 진짜 도움되는 사람이 많음. 우리나라는 무능력한 애들이 자기 기득권 유지하려고 별 개짓하는 바람에 능력자들이 아무것도 못하는데... 미국은 조금만 공부하고 노력하면 기회도 많고, 가르쳐주고 도와주려는 인물도 참 많은듯하네요 이러니 미국 per은 높을 수 밖에 없음 왜? 전세계인들이 다 매수하니까, 명품주식 이라서... 시장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는 글 같습니다 지금은... 과열일까? 아니면 경제위기를 잘 벗어날테니 기회일까? 고민하면서 읽어볼만 합니다 항상 경제는 극단에서 평균으로 돌아가려한다 라는 멘트가 너무 멋지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아래 블로그 글을보시면 더 방대한 요약 번역 자료글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요약은 더 아래 https://m.. 더보기 이전 1 ··· 5 6 7 8 9 10 11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