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이 바뀌어도 환율은 1450원 예측하는군요.... 이유야 관세같은 문제땜시 ㅠㅠ
1. 불투명한 원화 추가 강세
현황: 간밤 달러-원 환율은 약 9원 하락하며 1,462원 부근에서 마감. 씨티그룹은 달러 약세에도 불구하고 달러-원 환율이 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고 분석.
원인: 구조적인 해외 포트폴리오 투자 추세, 배당금 지급 시즌, 기업의 제한적인 달러 환전 수요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됨.
전망: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더라도, 향후 3개월 동안 달러-원 환율은 1,450원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
분석: 원화 강세가 제한적인 이유는 국내외 경제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으며, 단기적인 환율 변동성은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 투자자는 환율 안정성을 감안한 전략 수립이 필요.
2. EU, 트럼프 관세에 비상 조치 마련 및 유로 강세
현황: EU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경제 지원 및 구조적 개혁 방안을 준비 중. 이에 따라 유로화 가치가 상승(‘유로 점프’).
대책: 단기적으로는 경제 지원 패키지, 장기적으로는 핵심 산업 경쟁력 강화와 EU 단일 시장 개선 방안 포함.
분석: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EU 경제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선제적 조치로 보임. 유로화 강세는 단기적인 시장 신뢰 회복을 반영하지만, 관세 충격이 현실화될 경우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
3. 중국, 자국 기업의 대미 투자 제한
현황: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미국 투자를 제한하며,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가 관련 승인을 보류 중.
배경: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압박에 맞서 협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됨. 과거 국가 안보 및 자본 유출 우려로 해외 투자를 제한한 전례 있음.
분석: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은 경제적 레버리지를 확보하려는 의도로 보임. 이는 글로벌 공급망과 투자 흐름에 추가적인 불확실성을 초래할 가능성 있음.
4. 서머스 경고: 트럼프 관세의 ‘오일쇼크급 충격’
주장: 로렌스 서머스 전 미 재무장관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물가 상승과 실업률 증가를 유발하는 ‘공급 충격’을 초래할 것이라 경고.
영향: 경제적 충격 외에도 대외 관계와 국가 안보에 파급 효과 예상. 연준은 금리 정책 결정에서 난처한 상황에 처할 가능성.
분석: 관세 인상이 현실화되면 인플레이션 압력과 경기 둔화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어, 글로벌 시장에 중대한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 투자자는 연준의 대응을 주시해야 함.
5. 테슬라 1분기 판매 급감과 머스크의 거취
실적: 테슬라의 1분기 차량 인도량은 33만 6,681대로, 전년 대비 13% 감소하며 2022년 2분기 이후 최저치 기록.
원인: 일론 머스크의 정치적 활동이 글로벌 시장에서 부정적 반응을 일으켜 판매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전망: 저가 신차 출시로 반등 시도 예정. 머스크의 정부 자문 역할 사임 보도에 주가가 장중 6% 상승하며 변동성 나타냄.
분석: 테슬라의 실적 부진은 기업 리더십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시장의 민감성을 보여줌. 단기적으로 주가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 높음.
종합 분석 및 시사점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EU, 중국, 미국 내 경제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치며, 환율(원화, 유로)과 기업 실적(테슬라)에 직간접적 파급 효과 발생.
리스크 요인: 관세 충격(서머스 경고), 미-중 갈등 심화, 연준의 정책적 딜레마가 시장 변동성을 키울 가능성.
투자 전략: 환율 안정성(원화), 유로화 강세, 테슬라 주가 변동성을 고려한 단기 대응 필요.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에 주목해야 함.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년 제로 쿠폰 채권 발행 제안의 경제적 영향 분석 보고서 (3) | 2025.04.04 |
---|---|
북한의 암호화폐 절도 관련 주장 사실 여부 (9) | 2025.04.03 |
미국 없는 세계: 트럼프 관세 정책과 글로벌 패권의 변화 (4) | 2025.04.03 |
트럼프의 주장과 관세정책 성공여부 (6) | 2025.04.03 |
미국증시... 증시박살....? 시나리오? (4)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