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경제 뉴스

퀄컴 FY4Q23 실적발표를 했습니다 퀄컴 FY4Q23 실적발표를 했습니다 매출액 86.7억달러(컨센서스 85.1억달러), EPS 2.02달러(컨센서스 1.91달러) 기록했다고 하네요^^ - FY1Q24 가이던스는 매출액 91~99억달러(컨센서스 92억달러), EPS는 2.45달러 제시 (컨센서스 2.23달러) - 실적발표회에서 스마트폰 업체들이 재고 조정을 완료하고 신규 주문을 내고 있다고 언급. FY4Q23 중국 고객사향 매출액은 +35% QoQ 증가 - 퀄컴 CEO는 화웨이의 시장 진입이 동사의 중국 스마트폰 업체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걸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언급 - IDC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강력한 개도국 수요와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회복을 경험 중. 3Q23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0.1% 감소로 감소폭 크게 .. 더보기
FOMC 11월 요약, 금리동결 유지 나이스하네요 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라곤 하는데 일단 동결하니까 지수가 급등했네요 기술주는 다들 힘이 빠진 상태고... 빅테크 메가테크 대형주만 급등하는 장세가 나왔습니다 하루하루 이런 이슈가 큰 조정을 막아주니 다행이네요 더보기
전세계로부터 돈을 끌어모으는 미국 음 미국경제가 정상화가 빨리되야하는데 전쟁때문에 돈 들어갈곳은 많고, 부양책 쓸 힘은 없고 참 여러모로 골치아픈 위기 상황에 직면했네요 이런식으로 흘러가게되면,,,, 우리나라도 그렇고 전세계 많은 나라들이 당분간 고금리속에서 무작정 견뎌야하는 시간을 갖을것으로 보여집니다 생각보다 이 이슈가 사그라들기 힘든 구간이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펌 ㅣ -미국 재무부, “Series I Bond( or Series I Saving Bond)”의 수익률 “5.27%”- 2023년 10월 31일(미국 시간), 미국 재무부는 “Series I Bond” 또는 “Series I Saving Bond”라고 불리우는 미국의 장단기 국채를 일괄 입찰하는데, 그 수익률(이자)은 연 “5.27%”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 더보기
고금리 고착화에 따라 소비지출 감소 위클리 작성을 하면서 최근에 받았던 2가지 궁금증 혹은 의구심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해보았고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정답은 없으니 편하게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고금리 구간에 진입하면 소비 지출의 감소가 이어지게 될 것이고 이는 반도체에 타격이 아닌지? => 가장 많이 듣는 질문입니다. 먼저 과거의 금리 상승 구간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최근의 금리 상승기는 2016~18년 구간입니다. 이 때 연준은 금리를 0%에서 2.25%까지 약 3년 동안 올렸습니다. 이 때 반도체는 어땠을까요? 반도체 역사상 가장 최고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2018년 SK하이닉스는 당시 영업이익 20조원을 기록했습니다. 18년 금리 인상기에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은 엄청났습니다. 그 이후 연준은 경기가 가라앉는 .. 더보기
일본이 장기금리 1%를 넘어가는 걸 용인 일본이 장기금리 1%를 넘어가는 걸 용인했네요.. YCC가 사라져 가는 중.... 그럼 우리가 문제인데... 아 고금리.... 미국에 투자한 일본돈도 일부는 다시 일본으로 회귀할거고.... 미국이 중국과 잘 지내야 하는 이유가 늘었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일본은행은 31일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장단기 금리조작(일드커브컨트롤YCC)의 재수정을 결정했다.10년물 국채의 지시 가격 오퍼(공개 시장 조작)의 운용을 재검토해, 장기 금리의 사실상의 상한이었던 1%를 「목표」로 해, 일정 정도 넘는 것을 용인한다.정책 운영을 유연화함으로써 시장 기능의 저하를 피하는 목적이 있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이나 상장지수펀드(ETF) 매입과 같은 대규모 금융완화책의 큰 틀은 유지했다.수정 조.. 더보기
나트륨 섭취, 사망과 관련 없다. 새로운 연구가 나왔네요 근데 저는... 이상하게 짠 음식을 먹으면 머리가 너무 아프더라구요 흠 ㅠㅠ 다양한 연구가 더 깊이 진행되었으면 좋겠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펌 ㅣ 세브란스 병원 연구팀들이 나트륨 섭취가 많으면 많을수록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높은지를 관찰한 연구 입니다. 연구 대상 약 14만 명을 평균 추적 기간 10.1년 동안 관찰 한 메타분석 결과 입니다. 결론은 나트륨(소금) 섭취량은 사망에 끼치는 영향이 없었습니다. 짜게 먹어도 심장마비 안걸린단 뜻이에요. 그건 당연한 거고.. 이 연구에서 나트륨 말고 칼륨도 같이 비교 했는데, 원래 나트륨과 칼륨은 한 쌍을 이뤄 활동합니다. 함께 신경 신호도 전달하고 근육의 수축과 이완도 하고 세포간 정보 전달도 담당해요. 이.. 더보기
금리가 오르니 지뢰밭, 손실율이 50%가 넘는데 성공적인 투자???? 금리가 오르니까 여기저기가 폭탄돌리기네요 아마... 시간이 지나면서 금리가 빨리 인하되지않으면 전체적으로 폭락하는 장세가 올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손실율이 50%가 넘는데 성공적인 투자???? 독일 빌딩에 투자하는 펀드가 강제 청산 위기에 몰리면서 기준가가 150원(손실율 85% 정도) 까지 하락하는 등 그동안 설정된 리츠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상황에서, 모사의 부동산 펀드가 성공적으로 빌딩 매각이 되었다는 기사가 여기저기 게재 되었다. 매입 가격 대비 25% 하락한 가격에서 매각이 되었는데, 일반적인 리츠와 같이 레버리지를 일으켜서 매입한 관계로 실제 손실은 50%가 조금 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런데 그 동안 받은 배당을 포함하면 원금 가까이 될 수 있다고, .. 더보기
(미국10년물) 상승압력에 실적 불안 11월 방향성따라 내년 흐름 전체가 달라질듯하네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대신증권에서 투자전략을 담당하는 이경민입니다. 11월 전망 요약 보내드립니다. 11월 KOSPI 밴드 2,300 ~ 2,500p 제시 하단 KOSPI 2,300p : 12개월 선행PER 9.8배(10월 저점, 3년 평균의-1Std), 선행 PBR 0.8배(19년 이후 저점, 코로나19 제외), Deep Value 구간 상단 KOSPI 2,500p : 12개월 선행PER 10.8배(23년 평균의 -1Std = 2,520p), 선행 PBR 0.87배(3년 평균의-1Std), 200일 이동평균선 위치 자율반등 가능한 Deep Value 구간 진입, 한/중 모멘텀에 반등시도 강화 전망 3개월 동안 지속된 채권금리(미국10년물) 상승압력에 실적.. 더보기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