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분배, 신자유주의의 한계, 인간의 분배 정의 본능, 그리고 트럼프 재선과 그 정치적 배경을 다각도로 분석한 내용입니다.
요약
부의 분배와 정치적 갈등
새로 창출된 부는 분배 가능하지만, 기존 부의 재분배는 갈등을 유발한다. 정치인들이 경제 성장을 강조하는 이유다.
신자유주의는 부의 집중을 심화시켜 새로 창출된 부마저 불공정하게 분배되며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인간의 분배 정의 본능
떡 5개 분배 실험: 4:1의 불공정 분배를 인간은 거부한다(주는 사람도 받지 못함). 이는 이익보다 정의를 우선시하는 인간 본능을 보여주며, 동물과 구별된다.
트럼프 재선의 경제적 배경
미국 국채 이자 부담(연 1,200조 원)이 크지만, 달러 기축통화와 군사력으로 빚을 전 세계에 전가 가능.
그러나 군사 초강국 유지를 위한 과다한 통화 발행은 빚 증가와 서민 삶의 악화로 이어진다.
트럼프는 달러 패권보다 지지자들의 불만 해소에 집중하며, 동맹국 불안보다 내셔널리즘을 우선시.
바이든의 실패와 유권자 반발
바이든은 트럼프 1기보다 나은 성과를 냈지만, 물가 상승으로 유권자 불만을 샀다.
이는 불공정한 분배를 거부하는 인간 본능과 연결되며, 부자들은 이를 “시기심”으로 치부한다.
극우 지지는 가난한 층뿐 아니라 중산층의 신분 하락 공포도 주요 요인.
트럼프의 한계와 미래 전망
트럼프는 양당 정치의 핑퐁 게임을 깼다는 평가를 받지만, 정치적 역량 부족이 문제.
예: 관세 정책은 중국이 아닌 미국 소비자가 부담 → 고물가 장기화 시 유권자 이탈 가능성.
오늘의 고난을 참는 미덕 상실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 현상.
핵심 메시지
경제적 불평등과 불공정 분배에 대한 인간의 저항 본능이 트럼프 재선과 같은 정치적 변화를 낳았으나, 그의 정책은 근본적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불공정에 대한 불만은 계층을 넘어 보편적이며, 단기적 불만 해소가 장기적 안정으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추가 질문이나 특정 부분에 대한 심화 설명이 필요하면 말씀해주세요!
'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8) | 2025.03.17 |
---|---|
1년 기대인플레이션 지수는 4.9%를 기록했는데요, (21) | 2025.03.16 |
일본의 30년 경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8) | 2025.03.16 |
중국에서 시작된 가격 경쟁이 Tesla의 마케팅 전략 변화 (5) | 2025.03.16 |
유가가 하락해야 미국이 금리 낮출 여유가 생긴다. (9)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