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 stocks [2025] ISSUE arrangemet 썸네일형 리스트형 1년 기대인플레이션 지수는 4.9%를 기록했는데요, 오건영님글 ㅣ 주말 에세이 시작합니다. 최근 부진을 거듭하던 뉴욕 주식 시장이 큰 폭의 반등을 보이면서 안도감을 주었습니다. 다만 아직 안심은 이르죠. 무엇이 이런 반등을 만들었는지 조금 주목해서 봐야할 듯 합니다. 우선 토요일 새벽 발표된 지표들 중 이목을 끌었던 미시건대 지표를 보시죠. 우선 심리 지표를 볼 필요가 있는데요, 지난 1월 71정도 되었던 소비자심리지표가 57.9까지 급락했죠. 불과 2개월 사이에 빠르게 주저앉고 있는 겁니다. 57.9라는 숫자는 지난 2022년 11월 이후 가장 낮은 숫자라고 하죠. 22년 11월을 기억하시나요? 당시 미국의 추가적인 금리 인상에 대한 두려움과 여전히 높은 인플레이션이 공존했던 시기입니다. 그리고 미국 경기 침체 확률 및 스태그플레이션 진입 가능성을 10.. 더보기 트럼프 재선의 경제적 배경 경제적 분배, 신자유주의의 한계, 인간의 분배 정의 본능, 그리고 트럼프 재선과 그 정치적 배경을 다각도로 분석한 내용입니다. 요약부의 분배와 정치적 갈등 새로 창출된 부는 분배 가능하지만, 기존 부의 재분배는 갈등을 유발한다. 정치인들이 경제 성장을 강조하는 이유다. 신자유주의는 부의 집중을 심화시켜 새로 창출된 부마저 불공정하게 분배되며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인간의 분배 정의 본능 떡 5개 분배 실험: 4:1의 불공정 분배를 인간은 거부한다(주는 사람도 받지 못함). 이는 이익보다 정의를 우선시하는 인간 본능을 보여주며, 동물과 구별된다.트럼프 재선의 경제적 배경 미국 국채 이자 부담(연 1,200조 원)이 크지만, 달러 기축통화와 군사력으로 빚을 전 세계에 전가 가능. 그러나 군사 초강국 .. 더보기 일본의 30년 경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시라카와 마사아키(Shirakawa Masaaki)의 저서 **에서 일본의 1980년대 후반 버블 경제 형성 요인을 분석한 내용 1. 장기간 지속된 금융 완화의 역할1980년대 중반부터 일본은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며 금융 완화를 장기간 지속했습니다. 공식 재할인율(정책 금리)은 1986년 1월 4.5%로 인하된 후, 1987년 2월까지 5차례 연속 하락하여 사상 최저 수준인 2.5%에 도달했고, 1989년 5월까지 유지되었습니다. 낮은 인플레이션과 글로벌 정책 공조로 저금리 기조가 계속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이 확산되며 버블이 부풀어 오르는 데 기여했습니다.자세한 설명역사적 배경: 1980년대 중반, 일본은 제2차 오일쇼크(1979-1980) 이후 경제 안정화와 엔화 강세(1985년 플라자 합의 이후)를.. 더보기 중국에서 시작된 가격 경쟁이 Tesla의 마케팅 전략 변화 테슬라가 여러모로 중국에서 장기적인 매출성장 유지나 증가가 어려운 모양이다. 중국에서 시작된 가격 경쟁이 Tesla의 마케팅 전략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지금 상태로 가다가는 점유율이 계속 하락할것같으니까 이제는 가격으로만 승부보는 전략을 한번 해보려는 모양이다. Tesla에서 중국 시장을 겨냥한 ‘저가 모델’을 이제야 출시한다고 한다. 사실 할거면 좀더 미리 빨리 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다. 테슬라를 보면서 항상 생각하는게 뭐냐면... 신차출시가 너무 늦다. 공장을 하나 만들때마다 신차를 만들어서 출시하는 전략을 갖고있었다면 더 좋지않았을까? 상하이의 생산 라인을 이용해서 원가가 20% 정도 낮은 모델을 생산한다고 하는데 아마도 ‘저사양’으로 만드는 것 같다. 근데 테슬라가 그동안 제시해왔던 기본적.. 더보기 유가가 하락해야 미국이 금리 낮출 여유가 생긴다. 유가가 하락해야 미국이 금리 낮출 여유가 생긴다. 유가가 내려가면 물가도 내려간다.미국경제가 다시 희망이 생기는듯하다.이번에 뉴스가 나왔다, 원유 공급과잉 우려가 IEA(국제에너지기구)에서 보고된것이다.미국경제와 저금리를 원하는 트럼프에게는 매우좋은 소식.미국은 단기채 올해 말 내년 초 만기 도래 압박이 엄청나다. 재정위기를 빨리 벗어나려면 금리를 빨리 낮춰야한다. (바이든이 심어둔 지뢰)그래서 금리를 낮춰야하고, 금리를 낮추려면 물가도 낮아져야한다.유가가 높으면 금리 낮출 근거가 약해진다.열심히 시추해라는 트럼프의 주문도 이런 맥락에서 보면 이해된다."drill baby drill!"트럼프2.0 미국 우선주의가 지배하는 미국의 GDP성장은 2%대로 지속될 예정이다. 미국 인플레 추이를 보면 22년도에 .. 더보기 양적긴축 잠시 중단한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BofA)의 분석을 언급하며,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 긴축(QT) 프로그램을 일시 중단할 가능성과 그 결정이 미국 부채 한도 상황과 관련하여 어떻게 전달될지에 대해 다룹니다. QT(양적 긴축)란 무엇인가요?양적 긴축은 연방준비제도가 보유 자산을 줄이고 금융 시스템의 유동성(현금)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통화 정책 도구입니다. Fed는 보유하고 있는 미국 국채나 모기지 담보 증권과 같은 채권이 만기되도록 두고, 그 수익금을 새로운 채권에 재투자하지 않음으로써 이를 실행합니다. 이는 Fed가 경제에 돈을 주입하기 위해 채권을 매입했던 양적 완화(QE)와 반대되는 과정입니다. 2022년 7월 이후 Fed는 QT를 진행하며 약 9조 달러에 달했던 자산 규모를 2.2조 달러 이상 줄였.. 더보기 도널드 트럼프가 국세청(IRS)에 90일간 세금 징수를 동결하게 하고 요원 45,000명을 해고했다고 함. 현재 2025년 3월 16일 기준으로, 도널드 트럼프가 국세청(IRS)에 90일간 세금 징수를 동결하게 하고 요원 45,000명을 해고했다고 함. (전체 공무원 10만명째 해고중....)트럼프의 국세청 축소 및 세제 개혁 의지도널드 트럼프는 2024년 대선 캠페인과 2025년 취임 이후, 연방 소득세를 줄이거나 폐지하고 세수 부족을 관세로 대체하겠다는 공약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습니다. 2025년 2월 보도에 따르면,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은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는 국세청(IRS)을 폐지하고 외부인(수입품 등 외국 요인)이 세금을 내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IRS를 축소하고, 관세 및 수입세를 징수하는 대외수입청(ERS)을 신설하려는 계획이 논의되었습니다. 이 맥락에서 "90일간 세금.. 더보기 멕시코, 트럼프의 위협을 활용해 경제 재산업화와 해외 투자 유치를 추진 지금 트럼프관세 정책에 가장 잘 대응하는 나라는 멕시코다. 사실... 유예만 하다가 마지막에는 부과할 수도 있긴한데... 멕시코가 옛날같지않다는 생각이 든다. 범죄와의 전쟁을 다시하고 있는 느낌?지난 2월, 멕시코의 셰인바움 대통령은 미국으로의 불법 이민을 줄이기 위해 북쪽 국경에 1만 명의 병력을 파견하기로 합의하며 트럼프 행정부가 계획한 25% 관세 부과를 한 달간 연기시켰다. 그러나 3월에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관세를 무기로 멕시코를 압박하자,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미 준비된 대응책을 실행に移했다. 멕시코는 펜타닐 수십 톤을 압수하고 주요 마약왕을 구속했으며, 미국이 수년간 추적하던 범죄자 29명을 인도했다. 이는 멕시코 법을 위반했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관세 부과를 또 한 번 피하는 데 성공했다.셰.. 더보기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94 다음